var anchorString="이 지점으로.." document.write(anchorString.anchor("anchorName1")) 위의 구문은 이 지점으로.. 의 HTML을 만든다. 앞의 지정한 문자열을 링크의 내용으로 괄호 안의 문자열은 anchor의 이름이다.
big()
지정한 문자열을 택으로 감싼다.
var makeBig = "big 입니다." document.write(makeBig.big())
는 big 입니다. 로 된다.
blink()
문자열을 택으로 감싼다.
bold()
문자열을 택으로 감싼다.
charAt()
문자열에서 특정 위치의 문자를 반환한다. 괄호 속에 지정해 줄 수 있는 정수는 0에서 문자열 길이-1의 정수를 입력할 수 있다.
alert("abc".charAt(1))은 'b'를 반환한다.
eval()
괄호 속에 있는 문자열을 JavaScript 구문으로 실행한다.
var he = "Hello" eval("alert(" + he + ")" )는 alert("Hello") 와 같다.
fixed()
문자열을 택으로 감싼다. 사용법은 big()과 같다.
fontcolor()
문자열을 괄호 속에 넣어준 색상값으로 형식으로 만든다. 색상값은 색상 이름이나 RGB 값을 지정할 수 있다. RGB 값은 여섯개의 16진수 값으로 처음 2개는 red 값, 다음 2개는 green 값, 마지막 2개는 blue값이다.
document.write("빨간색".fontcolor("red")) document.write("흰색".fontcolor(000000)) 는 빨간색, 흰색 으로 나온다.
fontsize()
fontcolor()와 비슷하다. 의 형식으로 만든다. 괄호 속의 값은 size에 사용할 0에서 7까지의 정수값이다.
Regular Expression의 test()와 비슷한 동작을 하는 메소드로 문자열에서 regular expression을 검색한 것의 index를 반환한다. 검색된 것이 없으면 -1을 반환한다.
var st = "abc def ghi" var arr = st.search(/\w+\s*/g) if( arr != -1) alert("검색됨") else alert("없음") 으로 "검색됨"이 나온다. 위의 arr의 값은 0(zero)이다. 즉, exec()로 했을 때의 arr.index와 같은 값을 가진다.